내일은 NFT

팬덤 NFT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새로운 먹거리

NFT의 가치를 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커뮤니티다. K-POP 팬덤 문화를 생각해 보자. 한국 아이돌 커뮤니티는 전 세계 수많은 팬에 힘입어 글로벌 단위로 형성되어 있다. 가히 Mega IP*라고 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관련 팬덤 NFT 시장에서는 K-POP 영향력이 크고 이는 K-POP이 NFT 커뮤니티로서 성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글 _ 노경탁(《메타버스로 가는 NFT 로드맵》의 저자)

소장 욕구를 자극하다
대다수의 아이돌 팬은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굿즈라면 중고 거래를 해서라도 수집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팬들의 소장 욕구는 ‘포토 카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포토 카드는 공식 앨범이나 포토북, DVD의 구성품으로 사전 예약이나 유통사별 특전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얻는다. 좋아하는 아이돌의 포토 카드를 모으기 위해 한 장이 아니라 여러 장의 앨범을 사는 팬들도 많다. 스트리밍 음원이 보편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수들의 앨범 판매량이 유지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따라서, 많은 수요가 있는 포토 카드를 NFT화해서 판매한다면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이라 예상한 국내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새로운 먹거리로 NFT를 선택했다.
*IP(Intellectual Property): 지식재산권


가수 비투비, (여자)아이들 등의 IP 기반 멤버십 형태의 NFT, ‘애니베어’(출처 _ 큐브엔터테인먼트)

NFT만이 가진 매력
실물 형태였던 포토 카드가 NFT로 발행되면 어떤 효용이 있는 것일까? 그 답은 메타버스를 통해 찾을 수 있다. 하이브의 위버스(Weverse), SM엔터테인먼트의 디어유(DearU)는 모두 팬덤 기반의 커뮤니티 플랫폼이다. 이곳은 글로벌 팬과의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공간인데, 향후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과거 싸이월드의 ‘미니룸’처럼 메타버스 세상에도 나만의 공간이 존재하며, 팬들은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사진과 굿즈로 그 공간을 꾸밀 수 있다. 실물 형태의 포토 카드는 메타버스에서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것은 현실의 것이지 메타버스 속으로는 가져갈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공간을 꾸미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팬덤 NFT다.



  가수 김태우 NFT (출처 _ 아이오케이 컴퍼니),  가수 브레이브걸스 멤버 유정의 NFT (출처 _ 업비트)
가수 선미의 IP 기반 PFP(Profile Picture) NFT (출처 _ FSN)

메타버스 공간이 더욱 재미있는 것은 단순히 포스터를 붙이는 현실 세계와 다르게 노래를 부르거나 윙크하는 영상 등 새로운 형태의 아이템으로 공간을 꾸밀 수 있다는 점이다. 콘서트 등을 통한 수익 창출 방식을 벗어나 아티스트의 존재 자체가 메타버스 내에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엔터테인먼트 기업에게 팬덤 NFT는 상당히 매력적인 사업 아이템이다. 또한, NFT는 한정적으로 발행되기 때문에 소유욕을 더 자극한다. 내가 좋아하는 아티스트가 만든 NFT를 가질 수 있는 사람은 전 세계에 몇 명밖에 없으며, 특정 NFT를 가지고 있거나 잘 꾸민 장소가 있다면 아티스트가 직접 그곳을 방문해 줄 수도 있다. 이러한 만족감은 팬들을 더 즐겁게 만든다.

새로운 커뮤니티를 만들 기회
엔터테인먼트 기업에게 팬덤 NFT가 매력적인 이유는 NFT가 팬 커뮤니티를 활발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소속사의 유명 아티스트 팬들에게 신인 아티스트 혹은 연습생을 소개하기 위한 방안으로 NFT를 나눠준다고 가정해 보자. 누군지 몰랐던 아티스트의 NFT를 받게 된 순간, 이들에게 관심을 두고 초기 커뮤니티를 만들어 가는 소중한 팬이 될 수 있다. 내가 응원했던 아티스트가 BTS와 같은 세계적인 아티스트가 될 수도 있지 않은가. 만약 그렇게 된다면 내가 받았던 아티스트의 첫 번째 NFT는 그 가치가 어마어마하게 상승해 있을 것이다. 내가 받은 NFT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른 사람에게 판매하면 된다. 자연스럽게 아티스트마다 시장 가격이 형성된다. NFT는 팬들과의 활발한 소통이나 실력 향상을 통해 아티스트의 가치를 올릴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지금까지 시장의 평가가 없는 이들은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방송사에서 진행하는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아이돌 육성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이 좋은 사례다. 연습생들이 방송을 통해 팬을 확보하고, 시청자로부터 많은 표를 얻으면 데뷔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다수의 출연자를 한정된 방송 시간에 보여줘야 하므로 자신의 모든 모습을 보여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런데 이제는 NFT를 통해 긴 시간 동안 팬들과의 접점을 늘려나갈 수 있는 좋은 시스템이 생긴 것이다. 연습생이나 신인 아티스트의 초기 NFT는 해당 아티스트가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타트업 투자와 유사하고, 이들의 성장에 대한 이익을 팬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기도 하다.

이렇듯 팬덤 NFT에는 많은 수요가 존재하며, NFT 시장을 성장시킬 것이다. 다만,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상술 중심의 NFT 사업은 팬들로부터 반감을 살 수 있으므로 모든 팬덤 NFT는 아티스트와 팬을 위한 커뮤니티 제공에 주목적을 가져야 한다. NFT의 가치는 자발적인 커뮤니티 참여와 새로운 경험을 통해 생겨나기 때문이다. 핵심은 NFT를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다.

2023-09-01

노경탁: 다날 계열사 제프의 블록체인 메타버스 프로젝트 대표. 2014년부터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기업분석 애널리스트로 활동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을 시작으로, 전기전자 및 스마트폰 등 IT 산업의 기술 트렌드 변화와 시장 흐름을 다년간 분석했다. 저서로는 《메타버스로 가는 NFT 로드맵》 등이 있다.

WORK > JUMP 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기

    최상단으로 가기